명사들의 시사랑/시문학의 이해

이육사의 시의 특질 - 정한모

日日新 2011. 7. 9. 19:49

시문학의 이해 - 육사시의 특질과 시사적(詩史的) 의의(意義)

 

 

그의 시가 엄격한 행(行)과 연(連) 구성의 성형 의식과 가락을 견지하고 있는 것은 육사의 시 의식이 고전적인 선비 의식과 한시의 영향, 그리고 유교적 엄숙성에 정신적 혈맥을 두고 있음을 뜻한다.

신시사(新詩史)에 있어 대부분의 시가 센티멘털리즘에 감염된 여성적 체질을 갖고 있음에 비추어, 육사의 시가 여성적 감수성에 대륙적 기상과 남성적 의지를 불어넣음으로써 한국 시가 튼튼한 체질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기여를 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에 의하면 시는 행동이며 진정한 의미의 참여라고 한다. 그는 식민지적 압력에 대항하고 빼앗긴 조국을 되찾기 위하여 대륙을 전전하며 숱한 고난과 역경을 체험하였다. 이러한 역경과 인고(忍苦)의 극복노력은 기다림의 철학과 초인 의지로 승화된다. 온 몸을 내 던진 헌신적 투쟁의 수형(受刑)의식으로 일제에 저항하여, 그러한 인고와 생명의 절정에서 끝없는 기다림과 초인(超人)에 대한 열망을 시로써 형상화함으로써 보다 진정한 저항 방식을 보여 준 것이다. (정한모, 시인 서울대 교수 - 나라사랑 16집)